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신라시대 천문대 . 경주 첨성대

경상북도

by 화이트 베어 2013. 9. 13. 23:23

본문

728x90
반응형

경주 첨성대(慶州 瞻星臺)

 국보 제31호(소재지 :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839-1)

 

첨성대는 신라 선덕여왕(재위 632~647) 때 만들어진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 관측대이다.

화강석(花崗石)을 가공하여 기단(基壇) 위에 27단의 석단(石段)을 원통형의 곡선으로 쌓아 올리고,

그 위에 장대석(長大石)을 우물정자형[井]으로 축조하여 정상부에서 천문을 살피도록 시설되어 있다.

정남(正南)쪽의 석단에는 밑으로부터 제13단과 제15단 사이에 네모난 출입구가 있어 내부로 들어갈수 있게 되어 있고,

이 출입구 아랫부분 양쪽에는 사다리를 걸쳐 오르내리도록 되어 있다.

이 곳을 통해 꼭대기까지 올라가 하늘을 관찰했던 것으로 보인다.

규모는 밑면의 지름이 5.17m, 높이가 9.4m이며 지대석 한변의 길이는 5.35m이다.

신라시대의 석조물로서 직선과 곡선이 잘 아우러진 안정감 있는 건축물이다.

 [출처 : 경주 길라잡이(http://guide.gyeongju.go.kr)]

 

 

 

 

▼ 아내가 스마트폰으로 촬영 

 

 
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